kiukiu studio in handwriting

JLPT를 선택한 이유: 일본어 공부 여정


date icon   06월 17일, 2024년
     

저의 일본어 공부는 어릴 시절 일본 여행과 일본어에 대한 매력에서 시작됐어요. 8살이나 9살쯤 일본에 갔을 때, 그 첫인상이 아직도 기억날 만큼 매력적이었어요. 깨끗한 거리, 아기자기한 상점들, 친절한 사람들까지… 그 후, 일본 문화에 대해 많이 찾아보고 다양한 콘텐츠를 접해 보기 시작했습니다.


모든 것을 시작하게 한 영화

비 오는 날 버스 정류장에서 사츠키가 동생 메이를 등에 업고 빨간 우산을 쓰고, 옆에는 토토로가 검은 우산을 손에 든 채 서 있는 토토로 한 장면
My Neighbor Totoro (1988) – Satsuki meets Totoro for the first time

어느 날 아빠가 가져오신 비디오테이프가 제가 일본 문화에 빠지게 된 시작점이였어요. 거대한 털복숭이 생명체가 소녀를 돕는 애니메이션이었는데, 제목도 모르고 내용을 이해하지 못해도 그림체와 분위기에 완전히 푹 빠졌고, 배경 음악이 너무 좋아 CD를 사서 하루 종일 틀어놓기도 했어요. 영화는 1년 안에 20번 넘게 보며 모든 디테일을 흡수하려 했어요.

나중에 그 영화가 스튜디오 지브리의 <이웃집 토토로>(1988)임을 알게 됐고, 다른 지브리 영화들과 다양한 애니메이션도 찾아보기 시작했어요.


일본 문화의 풍요로움을 발견하다

애니메이션을 보며 일본어 단어와 히라가나를 자연스럽게 익혔고, 벚꽃, 다도 같은 문화에도 호기심이 생겼어요. 애니메이션 하나에 꽂히면 여러 번 반복해서 보니 더 익히기 수월하기도 했던 것 같아요.

그렇게 아빠를 따라 다시 일본을 방문하게 되면, 라멘이나 스시 같은 음식 문화부터 예의 범절까지 더 많은 것들이 눈에 들어왔고, 집으로 돌아오면 궁금했던 것들을 찾아보고… 단순히 일본 컨텐츠가 좋다기보다는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하고 싶어졌어요.


왜 일본어 공부 이렇게 어려울까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일본어 공부는 뒷전으로 밀리기 시작했어요. 학교를 가며 공부가 더 중요해졌고 학교를 졸업하고선 취업에 정신이 없고… 취업 후엔 가정이 생겨 챙길 게 훨씬 많아지다보니 그렇게 챙겨보던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드라마와도 점점 멀어지고 일본어 공부는 당연히 다른 사람 이야기 처럼 느껴졌어요. 제 인생이 천천히 바뀐 것도 있지만 일본어 자체에도 어려움을 많이 느꼈어요.

한자 (칸지): 가장 큰 장애물

다시 시작하는 것을 망설였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칸지였어요. 저는 한자가 정말 압도적으로 느껴졌거든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는 비교적 빠르게 익혔지만, 한자는 마스터하는 것이 불가능해 보였어요. 너무 많은 글자와 다양한 독음을 가지고 있어서, 제대로 시도해 보기도 전에 이미 포기했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몇 년간 나아가지 못했어요.

세 가지 문자 체계

일본어가 다른 대부분의 언어와 다른 점 중 하나는 바로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라는 세 가지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는 거예요. 실제 일본어 텍스트에 한자가 너무 많이 섞여 있어 읽기 어려웠고, 스크립트 전환도 힘들었어요.

복잡한 한자 읽기

한자 하나가 문맥에 따라 여러 독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도 힘들었어요. 예를 들어, ‘生’는 ‘세이, 쇼우, 나마, 이키루’로 읽힐 수 있는데 규칙이 불분명했죠. 익힌 한자가 다른 독음으로 나오면 혼란스러웠습니다. 진전할 때마다 벽에 부딪히는 기분이었어요.

저는 한국어가 모국어이기 때문에 일본어 문장 구조에 적응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지만, 더 깊이 공부하면서 일본어 문법이 한국어 문법과 상당히 다르다는 걸 느꼈어요. 그때부터 진짜 도전이 시작되었죠. 동사 활용, 조사, 경어 수준에는 한국어와 항상 일치하지 않는 뉘앙스가 있었답니다. 한국어로는 말이 되는 문장이 일본어에서는 항상 통하지 않아서, 문장에 대해 자꾸만 다시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경어와 존댓말 (케이고)

한국어 존댓말에 익숙해서 일본어 경어가 괜찮을 줄 알았지만, 오산이었어요. 와, 정말 너무 복잡하더라고요. 일본어는 존경어, 겸양어, 정중어를 포함한 다양한 경어 범주를 가지고 있거든요. 한국어보다 훨씬 체계적이라 처음엔 혼란스러웠고, 지금도 격식 있는 자리에서 말할 때는 경어 때문에 망설이게 된답니다.

띄어쓰기 부족

일본어는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가 없어서 놀랐어요. 한국어처럼 쉽게 단어를 알아볼 수 있을 줄 알았지만, 모두 붙어 있어 어려웠죠. 단어 구분을 위해 문장을 여러 번 다시 읽어야 했어요.


JLPT로 다시 용기를 갖게 된 이유

어느 날, 아이를 재운 후 한가한 시간에 유튜브를 보다가 일본어 능력 시험(JLPT)을 공부하는 사람의 영상을 우연히 발견했어요. 그리고 얼마 전 구매한 일본어 뜨개 도안을 보다가 포기한 게 생각이 낫죠. 왜 갑자기 JLPT 영상이 제 유튜브 알고리즘에 뜬 건지 모르겠지만, 뭔가 도전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JLPT 시험은 설렘만큼 두려움도 컸지만, 이번에는 다르게 접근했죠. 어차피 일과 육아 그리고 집안일까지 하려면 시간이 없으니 기한을 길게 잡고 하루 30분씩이라도 작게 꾸준히 공부하기로 했어요. 언어 학습은 마라톤이라고 생각해요. “일본어를 공부하겠다”라고 하면 너무나 막연한데, JLPT는 명확한 목표와 체계적인 수준을 제시해주니까 범위를 정할 수 있고 그만큼 일본어에 더 익숙해 진다는 것을 확실하게 느껴졌답니다.

혼자 공부하더라도 자료가 워낙 방대하고, 후기들도 많아서 막막함은 덜했어요.


FAQ: JLPT와 일본어 공부

JLPT를 준비하거나 일본어를 처음 공부하는 분들을 위한 질문과 답변입니다.

Q: 일본어 공부을 위해 JLPT를 봐야 하는 이유가 있다면?

JLPT는 일본어 실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며, 개인 목표, 취업, 유학 등에 활용됩니다. 읽기, 문법, 듣기에 중점을 둡니다. 저는 “일본어를 할 줄 압니다.” 라고 하기엔 너무 애매하고 읽고 쓰기는 전혀 못했기 때문에 더 구체적인 목표를 두고 골고루 실력을 향상시키는 게 좋다고 생각했어요.

Q: 일본어에 유창해지기 위해 JLPT가 꼭 필요한가요?

필수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다만 체계적인 학습 경로와 목표를 제공해 동기를 부여합니다. 말하기는 JLPT에 포함이 되지 않으니 회화를 따로 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Q: JLPT N5 또는 N1을 통과하는 데 얼마나 걸리나요?

N5는 보통 300~600시간, N1은 2,000시간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Q: 일본어를 배우면서 어떻게 동기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명확한 목표, 재미있는 방법, 꾸준함이 중요해요. 애니메이션, 책, 팟캐스트, 회화 연습을 병행하면 학습이 즐거워질 거예요.

Q: JLPT 합격을 위한 공부 방법은 무엇인가요?

교재(신 칸젠 마스터 등), 어휘 앱(Anki, Wanikani), 문법 드릴, 듣기 연습을 병행하세요. 모의고사는 속도 조절과 자신감에 도움이 됩니다.

Q: 일본어를 배우기 위해 교재를 사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앱을 사용해야 할까요?

학습 스타일에 따라 다릅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교재는 체계적 학습에 좋고, 앱은 문법과 어휘 복습에 유용해요.


어려움 극복과 동기 유지

아무래도 혼자서 짬내서 공부하는 것이다 보니 시간 제약과 마인드 컨트롤이 중요했어요. 혼자하는 만큼 포기하기도 쉽고 동기부여도 어렵더라고요. 포기해도 아무도 모르니까요. 그리고 “언제까지 N1을 패스하겠다”라는 목표도 없이 하니 더 더뎌지기도 쉬웠어요. 포기 하지 않기 위해 매일 적은 양을 공부하려고 노력했어요.

핵심은 ‘매일’입니다. 매일 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단어 30개를 매일 본다던지 팟캐스트를 매일 하나씩 출근하며 듣는다던지 생활 속에 틈틈이 일본어 공부를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했어요. 추가로 호보니치에 그날그날 한 공부와 계획표를 쓰면서 동기부여를 계속 주기도 했습니다. 너무 큰 목표는 포기하기 쉬우니 주 단위로 쪼개서 작은 목표를 설정했어요. 그리고 메모 섹션에는 큰 계획을 세우거나 공부가 너무 어려운 날 일기를 끄적이기도 했답니다.


일본어 콘텐츠를 이해하는 즐거움

자막 없이 일본 드라마를 이해할 때 가장 보람을 느꼈어요. 단어와 문장을 알아볼 때마다 정말 만족스러웠죠. 작은 성공들이 저의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는 확신을 주었어요. 일본 여행 중 실제 대화를 이해했을 때는 정말 기뻤어요. 이런 순간들이 저의 학습 의지를 더욱 굳건히 해주었답니다.

공부 시작 10개월째, 어렵지만 여전히 즐겁게 하고 있어요. 어휘와 한자에 조금 더 자신감이 생겼고, 한 번에 다 외우기보다 꾸준히 복습하는 데 집중하고 있죠. 앞으로도 계속 공부해서 시험을 보고, 책, 대화 등 일상 속에서 일본어를 자연스럽게 즐기고 싶어요. 일본어 실력을 키워 다시 일본을 방문하여 더 깊은 문화 경험을 하고 싶어요! 배우고 싶었지만 어렵게 느껴졌다면, 작게 시작해서 여정을 즐겨 보세요!


Tags:

Explore More in Study

Latest Updates:

Featured Videos:

➜ see more

Explore by Keywords: